Awake .
: 1. 스크립트가 실행될떄 한번만 호출됨
2. 주로 상태값 혹은 변수초기화에 사용함
3. Start 함수가 호출되기전 맨먼저 호출됨
4. 스크립트가 활성화되지않아도 호출됨
5.코루틴으로 실행불가
//코루틴이란?
코루틴이라는 것은 어떠한 작업을 처리할 때 필요에 따라
시간 간격을 두고 작업을 처리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함수 형식이다..
업데이트와의 차이점은 업데이트는 매 프레임마다 검사를 하지만
코루틴은 시간간격을두고 검사를 하기떄문에 효율적이다...
Start
1: Update 함수가 호출되기전 한번만 호출됨
2. 스크립트가 활성화 되야 실행됨
3. 다른 스크립트의 모든 Awake 가 모두 실행된후 실행됨
4. 코루틴으로 실행가능
Update
1.프레임마다 호출되는 함수로 주로 게임의 핵심로직을 작성함
2.스크립트가 활성화 되야 실행됨
LateUpdate
1. 모든 Update함수가 호출되고 난뒤 한번만 호출됨
2. Update함수에서 전처리가 끝난뒤 실행하는 로직에서 사용함
3. 카메라 이동로직에 주로사용됨
4. 스크립트가 활성화 되야 실행됨
FIxedUpdate
1.물리엔진의 시뮬레이전 계산주기로 기본값은 0.02초
2.발생하는 주기가 일정함
OnEnable
1.게임오브젝트 . 스크립트가 활성화 됫을떄 호출됨
2.이벤트 연결시 사용한다
3.코루틴 사용불가함
OnDisable
1.게임오브젝트 또는 스크립트가 비활성됫을떄 호출됨
2. 이벤트 연결을 종료할떄 사용함
3. 코루틴 사용불가
//이벤트란?
이벤트(event)는 어떤 사건이 발생했을 때 호출되어야 하는 메서드의 목록이다.
이벤트는 내부적으로 delegate로 구현되므로 이벤트를 선언하기 전에 delegate를 먼저 선언해두어야 한다.
- 하나의 delegate 로 여러개의 event 를 생성할 수 있다.
//델리게이트란?
delegate는 대신 호출할수있는 역활을 할수있는 형식
델리게이트로 += 로 다수의 함수를 호출할수 있으나
실수로 =을 통해 전에 있던 다수의 함수를 지워버릴수있으니
변수에 event를 사용하면 =을통해 실수는 없엘수있음.
OnGUI
1.레거시GUI관련함수를 사용할떄 사용함
Translate = Trans(Vector3 direction)
:게임오브젝트의 이동처리를 편하게 할수있는함수
RequireComponent
: 스크립트 실행시 꼭필요한 컴포넌트를 빼먹지 않고 실행되는 경우가 없게 오류를 사전에 막을수있음
RequireComponent(typeof(컴포넌트))]
'유니티unity' 카테고리의 다른 글
Ui 관련 함수및 오브젝트들 (1) | 2019.12.19 |
---|---|
플레이어 이동 관련 함수 , 게임관련 자주사용할함수들(추가중) (0) | 2019.12.16 |
unity error 목록 (2019.12.16)계속추가예정 (0) | 2019.12.16 |
unity 스내핑 (0) | 2019.12.16 |
유니티에 기준척도가 되는 모델 (0) | 2019.12.16 |